이 휠체어라면 어떤 계단도 오를 수 있어! 계단을 올라가는 자동 휠체어, Scewo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7-10 09:16 조회수379본문
오늘자(7월 6일) 네이버 테크란 메인 기사에 장애인들의 편의를 위한 기술 개발 관련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분들이 함께 볼 수 있도록 복지관 홈페이지에 기사를 게시합니다. 하남시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과 지역사회의 더 나은 내일을 희망합니다. *출처: 박동원 테크플러스 인턴에디터, [이 휠체어라면 어떤 계단도 오를 수 있어! 계단을 올라가는 자동 휠체어, Scewo], 네이버 테크, 2018.07.06 기사 이 휠체어라면 어떤 계단도 오를 수 있어! 계단을 올라가는 자동 휠체어, Scewo |
휠체어는 인류의 위대한 발명 중 하나입니다. 6세기 중국 돌판 위에 새겨진 기록에서 첫 유래를 살펴볼 수 있는 휠체어는 걷기가 힘든 사람들에게 '이동'을 선물했습니다. 휠체어에도 다양한 테크가 점점 접목되고 있습니다. 이제 휠체어는 개인에게 더 최적화되거나 스포츠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스포츠를 위한 휠체어 출처-Pixabay 휠체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직접 손으로 바퀴를 굴리거나 타인이 밀어줘야 하는 수동식과, 컨트롤러로 조종할 수 있는 자동식으로 나뉘는데요.
아무리 자동식이라 해도 타인의 손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계단을 올라갈 때입니다. 우리는 지하철에서 이 문제를 해결할 장치를 볼 수 있습니다. 바로 휠체어 리프트입니다. 하지만 이 휠체어 리프트는 생각보다 문제가 많습니다. 타기 위해선 지하철 직원을 불러야 하고, 이 과정에서 호출 버튼을 누르려다 사망한 사고도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갑자기 기계가 멈추거나 중간 턱에 멈춰 설 때면 불안하고, 스마트폰을 보며 가다 리프트를 보지 못하는 승객과 부딪힐 가능성도 높습니다. 이로 인해 7월 4일엔 지하철 리프트를 없애라는 휠체어 이용자들의 시위가 있을 정도입니다.
공간도 많이 차지하고,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휠체어 리프트를 대체할 기술이 담긴 똑똑한 휠체어가 있습니다.
Scewo는 레일이 숨어있는 휠체어입니다. 사용자는 다양한 모드로 기존의 휠체어에선 할 수 없던 계단 오르기가 가능합니다. ![]()
출처-SCEWO 공식 홈페이지
얼핏 보기엔 너무 공중에 떠있어 불안한 듯한 느낌이 들지만, 이 휠체어는 눈 길 위에서도 운행할 수 있을 정도로 안정적이고,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
Scewo가 가장 빛나는 순간은 바로 계단 앞에서입니다. 계단 앞에서 뒤로 돈 다음, '계단 모드'를 켜면 숨겨져 있던 레일이 등장합니다. ![]()
레일이 밑으로 내려가면서 계단의 경사에 맞게 각도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마치 전쟁터를 누비는 탱크의 바퀴처럼 휠체어를 위로 올리죠.
올라가는 힘도 굉장히 셉니다.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올라가고, 레일이 계단 각도만큼 기울었지만 휠체어에 타고 있는 사용자는 마치 평지인 것처럼 편안하게 앉아 있기만 해도 됩니다.
계단 위에 있는 Scewo는 매우 안정적입니다. 시험 사용해보고 있는 성인 남성이 계단 한가운데 멈춰놓고 몸을 흔들어 보지만 거의 흔들림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입니다.
계단 끝에 도달하면 안정적인 착지를 위해 숨어 있던 보조바퀴가 나옵니다. 레일이 일정 이상 계단을 감지하지 못하면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죠.
Scewo는 버스에서도 타인의 도움 없이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저상형 버스가 있지만, 버스 기사가 직접 내려 도와줘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
'계단 모드'는 계단을 오르내릴 때 외에도 미끄러운 빗길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위에서 확인했던 것처럼 레일은 굉장히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비탈길에서도 안전하게 다닐 수 있습니다. ![]()
위 모드는 '정지 모드'로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짚거나 타인과 시야 높이를 맞춰 대화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이 상태에서 운전도 가능하죠. 공동으로 개발한 아이디어 제품입니다. 기존 제품이 갖고 있던 한계를 기술력으로 극복하면서, 더 편리하고 안전한 세상을 위한 휠체어인데요. 올해 안에 정식 출시를 목표로 열심히 개발 중에 있다고 합니다. 이런 배려 깊은 기술이 더 많이 개발돼 안전한 세상이 오길 바랍니다.
|
- 이전글 쉽지않은 장애청년들의 한국사회 살아가기(에이블 뉴스) 18.07.12
- 다음글 (보건복지부,뉴시스) 장애인복지카드, 청소년증 온라인 '복지로'서 재발급 18.07.09















